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전남, 내년 ‘출생기본수당’ 이어 ‘기본소득’ 지급도 만지작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사항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전남, 내년 ‘출생기본수당’ 이어 ‘기본소득’ 지급도 만지작

페이지 정보

작성자이주임 작성일 24-08-25 02:49 조회 4회 댓글 0건

본문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올 1월 이후 전남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18년간 월 20만원의 ‘출생기본수당’을 지급하는 전라남도가 ‘기본소득사회’ 구현이 가능한지 정책 검토에 착수했다. 출생수당을 시작으로 청년과 장년, 노년에 이르는 생애 전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주기에 걸쳐 기본소득을 지급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는 취지다.
전남도는 21일 생애 주기별로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기본소득사회’에 대해 정책적인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자체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각종 지원금 정책 등을 분석하고 있다. 전남 주민들이 연령대별로 어떤 지원을 받고 있는지, 이런 지원 사업을 연결할 경우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는 기본소득이 가능한지 등을 따져보고 있다.
전남도는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인 출생기본수당을 기점으로 기본소득사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출생기본수당은 2024년 1월 이후 전남에서 출생한 아이들에게 매월 20만원의 수당을 18세까지 지급하는 정책이다. 재원은 도와 시군이 절반씩 부담한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최근 몇년 전만 해도 기본소득사회가 빠르지 않나 생각했는데 이제는 코앞에 와 있어 우리가 준비해야 한다면서 18세까지는 기본소득은 만들었다. 그다음 19세부터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19세 이상 주민들에게 전남도가 지급하고 있는 ‘청년 문화복지카드’와 ‘농어민 공익 수당’을 예로 들며 ‘청년 기본소득’ ‘농업인 기본소득’ 등으로 개념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2020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농어업인에게 매년 60만원의 공익수당 지급을 시작했다. 시행 첫해 19만1328명이었던 수당 지급대상은 지난해 21만3218명까지 증가했다.
2022년부터는 19∼28세 청년들에게 매년 25만원의 문화복지비를 지원하는 문화복지카드도 도입됐다. 지난해 복지비를 받은 청년은 10만6000명에 달한다.
전남도는 지역의 자연환경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이익 공유제’도 시행하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발전소 건설에 주민들이 참여해 ‘연금’처럼 정기적으로 이익금을 받는 제도다.
김 지사는 (기본소득사회는) 전남도만으로는 힘에 부치기 때문에 국가도 함께해서 연구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밝혔다.
일본이 2011년 폭발한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를 처리해 바다에 방류하기 시작한지 오는 24일로 1년이 된다. 일본 도쿄전력은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달까지 다핵종제거설비로 걸러낸 원전 오염수 5만5000t을 해양에 방류했고, 지난 7일부터 25일까지 7800t을 바다에 내보내는 8차 방류를 실시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우리 해역과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결과 이상징후가 없었다고 하지만 원전 오염수는 여전히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1년이 지났으니 안심해도 된다고 볼 근거는 없을 뿐더러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괴담’으로 몰아붙이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정부는 일본의 첫 방류 이후 최근까지 총 4만9633건의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는데 우리 해역, 수산물, 선박 평형수 등에 대한 방사능 검사에서 안전 기준을 벗어나는 사례는 1건도 없었다고 밝혔다. 수산물 소비가 급격하게 줄어들지 않았고, 수산업계에도 큰 영향을 주진 않았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이를 근거로 23일 아무런 과학적 근거 없는 황당한 괴담이 거짓 선동으로 밝혀졌다며 오염수 방류를 반대한 야당에 사과를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는 그럴 말을 할 자격이 없다. 정부는 오염수의 안전성을 제대로 검증하지도 않고 일본의 방류 계획을 용인했다. 일본 정부는 올해 2월 이후 한국 측에 방사능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고 한다. 야당을 비난하는 것보다 일본에 관련 자료의 공개를 요구하는 게 먼저 아닌가. 게다가 원전 오염수가 우리 해역에 유입되려면 최소 2~3년은 걸린다고 한다. 고작 1년이 지났을 뿐인데 ‘문제 없다’고 결론짓는 태도는 무책임하다. 방사능물질의 인체 영향은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해야 할 사안이다.
도쿄전력은 지난 21일 원전 내부 배관에서 핵연료 잔해(데브리) 3g을 처음 시험 반출할 계획이었지만 장비 설치 문제로 취소됐다. 현재 후쿠시마 원전에 남은 핵연료 잔해는 880t에 달하는데 처리가 지연되면 당초 30년이라던 오염수 방류 기간은 대폭 늘어날 수밖에 없다. 지금도 90t의 오염수가 매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9일에는 냉각 수조에 있던 오염수 25t가량이 누수돼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땅으로 스며드는 등 안전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이 지난 15~1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네 명 중 세 명은 ‘오염수 방류 자체에 반대’(76.2%)하고, 우리 정부가 대응을 ‘잘못하고 있다’(73.6%)고 답했다. 오염수 방류에 대한 비판과 걱정이 1년 전 여론과 다를 게 없음을 보여준다. 정부는 ‘괴담’을 운운할 게 아니라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챙기는 데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일본의 방류가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더욱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방사능 검사 체계를 강화해 국민적 불안을 덜어줘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원산업

  • TEL : 031-544-8566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청신로 1764-34
  • 고객문의
성원산업 | 대표자 : 강학현 ㅣ E-mail: koomttara@empal.com | 사업자번호 :127-43-99687 | 주소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청신로 1764-34 |
TEL : 031-544-8566 | 성원산업 All rights reserved.